파트너광고 라이브러리운영 가이드

성수기, 카테고리 매출만 봐서는 안되는 이유

*아래 콘텐츠를 바탕으로 Ai가 만든 팟캐스트를 함께 들어보세요.
 
작년 데이터를 보면 10월 매출은 3위, 1위는 11월이었습니다.
지금은 막 성수기로 들어서면서 매출이 가파르게 오르는 구간이에요.
그렇다면 중요한 질문이 생깁니다.
“이 시기, 우리는 어떻게 상품을 노출해야 매출 상승 확률을 높일 수 있을까?”
 

🙅‍♀️ 단순히 상품을 늘리는 것만으로는 부족해요

 
“스토어에 상품을 많이 올리고 노출만 늘리면 되지 않을까?”
쉽게 떠올릴 수 있는 생각이죠.
하지만 전체 매출이 오른다고 해도
모든 카테고리가 똑같이 성장하는 건 아니에요.
 
그래서 또 이렇게 생각할 수 있습니다.
“그럼 판매 상승률이 높은 카테고리에 집중하면 되겠네?”
여기까지만 해도 나쁘지 않지만,
대부분의 파트너들이 이미 같은 전략을 쓰고 있습니다.
 
즉, 이 정도로는 ‘앞서나가는 전략’이라고 보기 어렵습니다.
그럼 어떻게 해야 할까요?
 
👉 한 단계 더 들어가야 합니다.
오늘 이야기할 포인트는 바로, 카테고리별 ‘상위 상품 판매 비중’이에요.
 

🔍 카테고리마다 다른 ‘상위 상품 판매 비중’

 
상위 상품 판매 비중이란, 특정 카테고리에서 판매 상위 몇 개 상품이 전체 매출에서 차지하는 비율을 말합니다.
 
예를 들어, 10월에 롱원피스 SKU가 1만 개 팔렸다면
→ 상위 10개 상품이 매출에서 차지하는 비중을 따져볼 수 있죠.
 
상위 상품 판매 비중은 카테고리별로 크게 다릅니다.
아래는 작년 10월 주요 카테고리별 상위 0.1% 판매 비중을 보여주는 그래프입니다.
notion image
상위 비중이 가장 높은 경량패딩 카테고리는 롱원피스 대비 상위 판매 비중이 약 4배 높았습니다.
그만큼 카테고리마다 상위 상품 판매 집중이 얼마나 다른지 알 수 있습니다.
 
이 비중은 해마다 조금씩 변하더라도, 전체적인 경향은 크게 달라지지 않아요.
이 비중을 보면 카테고리마다 상위 품목의 판매 집중도가 얼마나 다른지 확연히 드러나죠.
 

🤔 왜 이렇게 차이가 날까요?

  1. 평균 보유 품목 수
      • 옷장에 보유하는 수가 적은 카테고리가 상위 상품에 판매가 쏠리는 경향이 있어요.
      • 이런 이유로 상의류보다 바지 계열의 상위 편중이 강합니다
       
  1. 디자인 요소 다양성
      • 디자인이 비슷하면 후기와 판매가 많은 상품으로 집중됩니다.
      • 원피스는 넥라인, 기장, 소재, 디테일, 색상 등 다채로운 요소로 디자인이 제각각이라 상위 집중도가 가장 낮습니다.
      • 반면 슬랙스는 상품마다 디자인 차이가 크지 않아 상위 편중이 강합니다.
       
  1. 가격대
      • 가격이 높을수록 더 신중히 고르기 때문에, 검증된 베스트 상품으로 쏠림이 강해집니다.
      • 대표적으로 아우터 카테고리가 이 케이스에 해당 됩니다.
 
물론 어디까지나 경향성이며 같은 카테고리더라도 시즌마다 다를 수 있습니다.
대표적으로 양말은 단가가 낮은 상품이지만 베이직한 디자인 위주로 판매되어 검증된 상품 위주로 판매가 쏠립니다.
반면, 티셔츠 같은 경우는 여름에는 다양한 디자인 제품이 판매되며 상위 편중이 낮지만 이너로 활용되는 계절에는 상승합니다.
 

🌱 스토어 전략에 적용해 본다면?

  • 신규 스토어라면
    • 상위 판매 비중이 낮은 상의류·원피스 카테고리를 먼저 공략하는 게 좋아요.
      다양한 상품이 고르게 팔리기 때문에, 신규 진입 스토어도 판매 발생 가능성이 높습니다.
  • 매출 규모가 큰 스토어라면
    • 상위 판매 비중이 높은 아우터·바지류에서 베스트 상품을 집중 공략해보세요.
      베스트를 만들었을 때 리턴이 크고, 트렌드 변화도 완만해 장기적으로 많은 판매를 노리기 좋습니다.
       

📖 정리하자면

10월은 단순히 “매출이 오른다”는 시기가 아니라,
스토어 전략을 어떻게 짜느냐에 따라 성장 곡선이 크게 달라질 수 있는 시기예요.
 
👉 단순히 상품 수를 늘리거나, 인기 카테고리만 따라가는 건 누구나 할 수 있는 전략입니다.
👉 차별화를 만들려면 카테고리별 상위 상품 집중도를 이해하고, 내 스토어 상황에 맞는 전략적 선택을 해야 합니다.
 
이런 접근이야말로 10월 이후 성수기 경쟁에서 한발 더 앞서나갈 수 있는 방법입니다.

#광고#지그재그

광고 비즈니스팀

파트너사의 성공적인 광고 집행과 매출 성장을 위해 서포트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