파트너광고 라이브러리실전 가이드

⚒️ 클릭률, 실전 개선 방법

* 아래 콘텐츠를 바탕으로 Ai가 만든 팟캐스트를 들어 보세요. 더 쉽게 이해하실 수 있어요.
썸네일이 클릭률에 가장 큰 영향을 준다는 걸 알게 되었어요. 그렇다면 이제 실제로 광고에서 썸네일(광고 소재)을 어떻게 등록하고, 어떻게 판단하고 개선해 나가야 할지 단계별로 정리해 볼게요.
 

📍 광고 소재는 어디서 등록하나요?

notion image
상품형 광고 그룹을 클릭하면 해당 그룹에 포함된 광고 상품 목록이 보입니다.
  1. 목록에서 광고 상품명을 클릭
  1. 해당 상품의 광고 소재 목록으로 이동
  1. 좌측 상단 [+광고 소재] 클릭 → 썸네일 이미지를 새로 등록할 수 있어요
    1.  

⏱️ 새로 등록한 소재, 얼마나 지켜봐야 할까요?

노출 수가 500회 이상일 때 클릭률을 평가해보시는 걸 추천드려요.
  • 500회 미만이면 클릭률 데이터가 안정적이지 않을 수 있고 그 이상은 비용과 시간이 소모되기 때문에, 초기 판단선으로 적절한 기준이에요.
✅ 노출 약 500회 시점에:
  • 클릭률이 기존 소재 대비 높다면 교체 유지
  • 클릭률 개선이 없다면 새 소재로 다시 테스트
 

📊 클릭률 외에 꼭 함께 봐야 할 지표: 소재지수

소재지수란?
동일한 위치에 노출된 다른 광고 소재들과 비교해 상대적으로 클릭 반응이 어땠는지를 수치로 보여주는 지표입니다.
소재 지수는 광고 상품 목록 및 소재 목록에서 확인하실 수 있어요
소재 지수는 광고 상품 목록 및 소재 목록에서 확인하실 수 있어요
 

❓ 왜 클릭률만으로 부족할까?

노출 위치에 따라 클릭률은 자연스럽게 달라지기 때문입니다.
예를 들어:
  • 내 광고 소재가 상단 영역에 노출되어 클릭률이 높게 나온 것처럼 보이지만 같은 상단 위치에 노출된 다른 소재들과 비교했을 땐, 클릭 반응이 오히려 낮을 수 있어요
→ 이럴 땐 소재지수가 낮게 나오고, 실제로는 반응이 약한 소재일 가능성도 있습니다.
 

🎯 그래서 목표는?

소재지수 5점 이상을 목표로 관리해 주세요. 이 수치는 평균보다 반응이 높은 상태를 의미하며 소재 교체나 유지 판단에 실질적인 기준이 될 수 있어요.
 

📌 그런데… 상품이 너무 많다면 어떻게 관리하죠?

많은 스토어는 광고 상품이 수십 개에서 수백 개까지 운영되고 있어요. 이 모든 상품의 썸네일을 매번 테스트하고 관리하는 건 현실적으로 어렵습니다.
 

✅ 그래서 필요한 건: 관리 우선순위 설정

가장 기본적인 방법은 다음과 같아요:
  • 광고비를 많이 사용하는 상품부터 정렬
  • 클릭률이 평균 대비 낮은 상품에 우선적으로 소재 개선을 적용
 
예시:
  1. 광고비 소진 기준으로 상위 10개 상품 추출
  1. 이 중 클릭률이 낮은 상품을 우선 교체
  1. 테스트 후 개선되면 유지, 아니면 다시 새로운 썸네일 시도
👉 이렇게만 해도 전체 성과에 큰 영향을 주는 구간부터 개선할 수 있어요.
 

🧭 정리하자면

  • 광고 소재는 개별 상품 단위로 등록 및 교체할 수 있어요
  • 클릭률은 노출 500회 이상일 때 판단
  • 클릭률 + 소재지수를 함께 보며 정확한 반응을 파악
  • 전 상품이 아닌, 광고비 상위 상품 중심으로 관리
 

다음 편에서는 전환율 개선 방법을 다뤄볼게요! 클릭 이후, 어떻게 하면 유저가 이탈하지 않고 구매까지 이어지게 할 수 있을지 구체적인 팁을 정리해보겠습니다. 🛒

#광고#아카데미#광고기초#지그재그광고

광고 비즈니스팀

파트너사의 성공적인 광고 집행과 매출 성장을 위해 서포트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