초보 파트너를 위한 지그재그 광고 운영 가이드
🎯 ① 지그재그 광고, 처음엔 이렇게 시작해 보세요!
👀 ② 상품형 광고, 어떻게 시작해야 좋을까요?
🤔 ③ 내 광고 성과, 잘 나오고 있는 걸까?
🔧 ④ 광고 성과, 어떤 지표를 개선해야 할까요?
📈 ⑤ 클릭률이 왜 중요할까요?
🔍 ⑥ 어떻게 클릭률을 높일 수 있을까요?
⚒️ ⑦ 클릭률, 실전 개선 방법
🧑🔧 ⑧ 구매 전환율, 어떻게 개선할까?
🧙 ⑨ ROAS만 보고 판단하면 놓치는 것들
🧑🏫 ⑩ 자주 문의하시는 광고 질문들
* 아래 콘텐츠를 바탕으로 Ai가 만든 팟캐스트를 들어 보세요. 더 쉽게 이해하실 수 있어요.
썸네일이 클릭률에 가장 큰 영향을 준다는 걸 알게 되었어요. 그렇다면 이제 실제로 광고에서 썸네일(광고 소재)을 어떻게 등록하고, 어떻게 판단하고 개선해 나가야 할지 단계별로 정리해 볼게요.
📍 광고 소재는 어디서 등록하나요?
상품형 광고 그룹을 클릭하면 해당 그룹에 포함된 광고 상품 목록이 보입니다.
- 목록에서 광고 상품명을 클릭
- 해당 상품의 광고 소재 목록으로 이동
- 좌측 상단 [+광고 소재] 클릭 → 썸네일 이미지를 새로 등록할 수 있어요
⏱️ 새로 등록한 소재, 얼마나 지켜봐야 할까요?
노출 수가 500회 이상일 때 클릭률을 평가해보시는 걸 추천드려요.
- 500회 미만이면 클릭률 데이터가 안정적이지 않을 수 있고 그 이상은 비용과 시간이 소모되기 때문에, 초기 판단선으로 적절한 기준이에요.
✅ 노출 약 500회 시점에:
- 클릭률이 기존 소재 대비 높다면 교체 유지
- 클릭률 개선이 없다면 새 소재로 다시 테스트
📊 클릭률 외에 꼭 함께 봐야 할 지표: 소재지수
소재지수란?
동일한 위치에 노출된 다른 광고 소재들과 비교해 상대적으로 클릭 반응이 어땠는지를 수치로 보여주는 지표입니다.
❓ 왜 클릭률만으로 부족할까?
노출 위치에 따라 클릭률은 자연스럽게 달라지기 때문입니다.
예를 들어:
- 내 광고 소재가 상단 영역에 노출되어 클릭률이 높게 나온 것처럼 보이지만 같은 상단 위치에 노출된 다른 소재들과 비교했을 땐, 클릭 반응이 오히려 낮을 수 있어요
→ 이럴 땐 소재지수가 낮게 나오고, 실제로는 반응이 약한 소재일 가능성도 있습니다.
🎯 그래서 목표는?
소재지수 5점 이상을 목표로 관리해 주세요. 이 수치는 평균보다 반응이 높은 상태를 의미하며 소재 교체나 유지 판단에 실질적인 기준이 될 수 있어요.
📌 그런데… 상품이 너무 많다면 어떻게 관리하죠?
많은 스토어는 광고 상품이 수십 개에서 수백 개까지 운영되고 있어요. 이 모든 상품의 썸네일을 매번 테스트하고 관리하는 건 현실적으로 어렵습니다.
✅ 그래서 필요한 건: 관리 우선순위 설정
가장 기본적인 방법은 다음과 같아요:
- 광고비를 많이 사용하는 상품부터 정렬
- 클릭률이 평균 대비 낮은 상품에 우선적으로 소재 개선을 적용
예시:
- 광고비 소진 기준으로 상위 10개 상품 추출
- 이 중 클릭률이 낮은 상품을 우선 교체
- 테스트 후 개선되면 유지, 아니면 다시 새로운 썸네일 시도
👉 이렇게만 해도 전체 성과에 큰 영향을 주는 구간부터 개선할 수 있어요.
🧭 정리하자면
- 광고 소재는 개별 상품 단위로 등록 및 교체할 수 있어요
- 클릭률은 노출 500회 이상일 때 판단
- 클릭률 + 소재지수를 함께 보며 정확한 반응을 파악
- 전 상품이 아닌, 광고비 상위 상품 중심으로 관리
다음 편에서는 전환율 개선 방법을 다뤄볼게요! 클릭 이후, 어떻게 하면 유저가 이탈하지 않고 구매까지 이어지게 할 수 있을지 구체적인 팁을 정리해보겠습니다. 🛒